본문 바로가기

농사짓기17

식물의 에너지원은 어디서 오는가? 식물의 에너지원: 광합성에 의한 에너지 생성 식물은 자급자족하는 생명체(생산자)로, 외부에서 직접 에너지를 얻는 대신 광합성을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식물의 에너지원은 태양빛(빛 에너지)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화학 에너지(포도당)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활용합니다. 이 과정은 생물학적, 화학적, 생리학적 단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아래에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에너지원: 빛 에너지 태양빛: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빛 에너지는 식물의 기본 에너지원입니다. 엽록체(잎 세포 내의 기관)에 있는 **엽록소(Chlorophyll)**가 이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사용합니다. 적합한 빛의 파장: 엽록소는 주로 가시광선 중 청색광과 적색광을 흡수합니다. 녹색광(495~570 nm)은 잘 흡수되지 않.. 2025. 1. 13.
사과에 왜 칼슘이 필요한가 1. 칼슘의 역할1) 세포벽 강화 칼슘은 세포벽의 구성 요소로 작용하여 과일의 구조를 튼튼히 만듭니다. 세포벽이 튼튼하면 양분의 유실을 막고 과육이 물러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2) 병해 저항성 튼튼한 세포벽은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 내병성을 높입니다. 특히 고두병(과육의 갈변 및 스폰지화)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3)수분 유지 및 저장성 향상 저장 중 과일의 수분 손실을 줄여 상품성을 유지합니다. 저장 기간 동안 과일의 무게와 품질이 유지되도록 돕습니다. 2. 사과가 칼슘을 흡수하는 시기1) 칼슘 흡수 시기:  # 유과기(어린 열매기) - 사과의 칼슘 흡수는 유과기 동안 가장 활발합니다. - 이 시기에 흡수된 칼슘이 과일의 세포벽에 축적되어 저장성이 강화됩니다. # 성과기(과일 성장기).. 2025. 1. 11.
농수산물 수입에 쓰이는 할당관세는 무엇일까요? 농민신문에 요새 자주등장하는단어로 할당관세가 있습니다. 농산물 가격이 높다보니. 농산물 수입에 대해 관세 얘기가 많이 나옵니다.세금을 깍아서 농산물 가격을 낮추자는 것인지, 아니면 세금을 깍아서 물량확보를 하겠다는 것인지.잘 생각해봐야 될듯 합니다. 할당관세 :   특정 수입품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기본 관세율을 조정하여 부과하는 제도로, 물자 수급의 원활화와 국내 산업 보호를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특징: 관세율 조정 범위: 기본 관세율의 ±40% 범위 내에서 조정됩니다. 일시적 적용: 할당관세는 주로 특정 기간에 한정되어 적용됩니다저율 관세 적용: 기존 관세율보다 낮은 관세율이 적용됩니다수량 제한: 일정한 수량까지만 낮은 관세율이 적용되며, 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율이 적용됩니다.. 2025. 1. 10.
팥 농사 올해 팥농사를 .. 많이는 아니고 그래도 한 70~80평 심어보았습니다. 처음 심고 풀관리만 하고 조금 더 크자 사과농사로 팥은 자연히 크게 되었는데 나중에 수확할때 보니 고개를 너무 숙여서 땅에 붙어있는 팥이 많더군요. 콩도 그렇지만 팥도 심고 약도 안하고 했더니 엉망이네요.  내년에는 좀더 잘 키워봐야지 하고 팥농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종자는 여러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집에 있는 팥을 게속 심다 보니 어떤 종자인지 모르겠습니다.  한국산 팥은 이러한 품종들이 있다고 합니다.  1. 품종 충주팥 알맹이가 크며 앙금 및 통팥용으로 이용됩니다. 재배지역이 넓어 대중적인 품종입니다. 새길팥 알맹이가 크고 꼬투리가 길며, 꼬투리당 알맹이 수가 많습니다. 금실 알맹이와 키가 작지만 이른 수확이 가능하고 쓰러짐에.. 2024. 12. 23.
사과재배 온난화 대책. (일본의 사례) 2023년 긴 장마등 기후 영향으로 인하여. 2024년 후지 일부의 개화가 적게 이루어져 착과량이 감소됨. 이곳은 사과농가가 많지 않음인지, 아니면 국가적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는 건지. 여하튼 일본의 온난화 대책을 알아보기 위해 뒤적여서 정리해봄.   일본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사과 재배에 관한 적응 가이드 1. 기후변화의 영향: 일본의 평균 기온은 100년당 1.24℃ 상승하고 있으며, 고온과 대량 강수, 태풍 등의 극단적인 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사과 품질 저하, 착색 불량, 태양에 의한 과일 손상 등이 주요한 영향으로 보고됨.  2. 적응의 필요성: 기후변화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농업 경영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의 필요성 강조. 지역적 특성과 기후 조건에 따른 맞춤형 대응 전략.. 2024. 12. 15.
아오모리사과의 변화. 사과로 유명한 일본의 아오모리. 이 곳 아오모리에서도 온난화는 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일본의 한 방송.. 다가오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 아오모리 사과 아오모리의 기온은 ... 아오모리를 포함한 도호쿠 지방의 지난해 연평균 기온은 평년보다 0.8°C 높았고, 1990년, 2020년과 함께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평년보다 상승폭이 가장 컸다. 지구 온난화의 영향도 배경에 있다고 믿어집니다. 인터뷰 과정에서 일본 기상청(JMA)이 금세기 말의 기온 변화를 예측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보았을 때 너무 놀라서 내 눈을 믿을 수 없었습니다. "아오모리의 평균 기온이 4.7°C 올랐다"고 지금 도쿄와 같은 수준으로! 기상청에서는 "이산화탄소 등의 환원이 진행되지 않고 지구 온난화가 가장.. 2024.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