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서살이7

성경에서 말하는 사마리아인들은 누구일까요? 신약성경에서 사마리아인은 주로 유대인들에게 배척받는 사람들로 묘사됩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비유 중 하나인 착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는 사마리아인이 이웃 사랑의 모범으로 등장하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간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이웃 사랑을 강조한 이야기죠, 그런데 왜 유대인들은 사마리인들을 싫어했을까요? 사마리아인들이 누구고, 왜 유대인은 사마리아인들을 싫어하는지 찾아보았습니다.  사마리아인(Samaritans)은 고대 이스라엘의 북부 지역에 거주하던 민족으로, 그 기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의 후손설: 사마리아인들은 자신들이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 그리고 레위 지파의 후손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가나안 정복 이후 그리심산에 성막을 세웠으며, 이후 제사장 엘리가 이.. 2025. 1. 26.
찾아보는 시노달리타스 성당에서 자주 말씀하시는 부분이 시노달리타스입니다. 시노달리타스정신. 가톨릭에서 쓰이는 단어들이 외래어인 경우가 많아서 외래어 그대로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지만 그 뜻이 정확히는 전달되지 않아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공부를 해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5년 10월 17일, 주교대의원회의(시노드) 설립 50주년 기념 연설에서 처음으로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 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이후, 2021년 10월 10일에는 '시노달리타스'를 주제로 하는 세계주교시노드 제16차 정기총회를 개막하며, 교회가 더욱 시노드 정신을 실천하는 공동체로 나아가야 함을 촉구하셨습니다.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는 라틴어로, 그 어원은 그리스어 *시노두스(synodus)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2025. 1. 17.
가톨릭에서 희년의 의미와 희년을 지내는 방법 가톨릭 교회의 '희년'( 'Jubilee'  쥬빌리) 은 신자들에게 특별한 영적 은총을 베푸는 해로, 일반적으로 25년마다 한 번씩 선포됩니다. 이 시기는 신앙의 쇄신과 회개를 촉구하며, 전대사(全大赦)를 받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대사는 죄의 용서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벌까지도 면제받는 은총을 의미합니다.  희년의 기원과 역사희년의 개념은 구약성경 레위기 25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50년마다 희년을 지켰으며, 이 시기에는 부채 탕감, 소유지 반환, 노예 해방 등을 통해 사회적 평등과 정의를 회복했습니다. 레위기 25장 10절에서는 "너희는 이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한 해로 선언하고 너희 땅에 사는 주민에게 해방을 선포하여라"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가톨릭 교.. 2025. 1. 8.
가톨릭에서의 성시간이란? 오늘 1월 첫목요일이라. 성당에서 성시간을 갖는다고 해서 성당을 갔는데, 이번달에는 성시간이 없다는 사실을 미사가 끝나고 알게 되었네요. 집사람이 가자고 해서 갔는데요저번에 한번 참석을 했었는데 성시간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해서  성시간이 무엇인지 공부해봅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성시간(聖時間)**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사랑을 묵상하고 기도하기 위해 봉헌된 시간입니다. 이는 특히 성체 성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도 형태로, 성체를 모신 후에 묵상과 기도를 통해 하느님과 깊이 교감하는 시간입니다. 성시간이 시작된 것은, 성녀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라코크(Marguerite-Marie Alacoque, 1647-90)에 의해서였습니다.  1674년 성심으로부터 빛이 나오는 모습으로 마르가리타 마리아 알.. 2025. 1. 2.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소서. 고해성사, 판공성사 보고 깨끗한 마음을 유지할려고 했으나.. 각종 유혹이 넘쳐나는 세상에. 그래도 크리스마스까지라도 조금은 깨끗한 마음을 가져보고자 노력해봅니다. 성경에서 죄와 유혹이란 단어가 들어간 구절과 이겨낼수 있는 구절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시편  젊은이가 무엇으로 제 길을 깨끗이 보존하겠습니까?.당신의 말씀을 지키는 것입니다. 제 마음 다하여 당신을 찾습니다. 당신 계명을 떠나 헤매지 않게 하소서. 당신께 죄짓지 않으려고 마음속에 당신 말씀을 간직합니다.  시편 119(118).9-11  마태오복음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저희를 악에서 구하소서. 6,13  가시덤불 속에 뿌려진 씨는 이러한 사람이다. 그는 말씀을 듣기는 하지만,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이 그 말씀의 숨을 막아 버려 .. 2024. 12. 22.
집에 성모성화가 있어서 알아봅니다. 이렇게 생긴 성화입니다. 집사람이랑 이 성모님이 영보의 성모님이다. 아니다라고 언쟁하다가 이럴게 아니고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이 성화는 전통적인 동방정교회의 성화(아이콘)로, 성모 마리아(Θεοτόκος, 하느님의 어머니)와 아기 예수님을 묘사한 것입니다. 자연스러운 나무 판 위에 그려져 있으며, 상단에는 "ΜΡ ΘΥ"라는 그리스어 약자가 보이는데, 이는 "하느님의 어머니"를 의미합니다. 금색과 섬세한 세부 묘사는 전통적인 비잔틴 아이콘 스타일을 따르고 있습니다. #특징 마리아와 아기 예수의 밀착된 모습 성모자 아이콘에서 자주 보이는 특징으로, 성모님이 아기 예수를 부드럽게 껴안으며 얼굴을 맞대는 모습은 애정과 보호, 신성과 인간성의 결합을 상징합니다. 이 모습은 “Eleousa”라고 불리는 스타일로.. 2024.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