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급여의 제공 시기
장기요양인정서가 도달한 날부터 장기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돌볼 가족이 없는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부득이한 사유가있는 경우에는 장기요양인정신청서를 제출한 날부터 장기요양인정서가 도달되는 날까지의 기간 중에도 장기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음)
급여이용 대상
1~5등급의 장기요양인정을 받은자
장기요양수급자의 장기요양급여 이용
장기요양수급자는 시설 또는 재가 장기요양기관과 계약을 체결하고 급여 이용
공단은 수급자가 자율적으로 장기요양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정보제공 및 안내, 상담
장기요양인정서와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따라 수급자와 가족이 자율적으로
장기요양기관을 선택하여 급여계약체결을 하고, 장기요양기관에서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와 계약 내용을 반영하여 세부급여제공 계획(일정)을 수립하고 급여 제공
급여의 종류(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제26조)
장기요양급여는 크게 재가급여, 시설급여, 특별현금급여로 나누어집니다.
재가급여
시설급여
장기요양기관이 운영하는 노인의료복지시설(요양병원 제외)에 장기간동안 입소하여 신체활동지원, 심신기능의 유지 · 향상을 위한 교육 · 훈련 등을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입니다.
특별현금급여
가족요양비, 특례요양비, 요양병원간병비가 있습니다.
가족요양비 장기요양기관이 현저히 부족한 지역(도서 · 벽지)에 거주하는 자, 천재지변 등으로 장기요양기관이 실시하는 장기요양급여 이용이 어렵다고 인정된 자, 신체 · 정신 · 성격 등의 사유로 가족 등이 장기요양을 받아야 하는 자에게 지급 특례요양비 수급자가 장기요양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은 장기요양시설 등의 기관과 재가 또는 시설급여에 상당한 장기요양 급여를 받은 경우 장기 요양급여 비용의 일부를 지급 요양병원간병비 수급자가 [노인복지법] 상의 노인전문병원 또는 [의료법] 상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때에 장기요양에 사용되는 비용의 일부를 지급
특례요양비와 요양병원 간병비는 현재 시행을 유보하고 있음
기타재가급여
심신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지장이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에게 일상생활 또는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용구를 제공(구입/대여)하는 장기요양급여입니다.
장기요양기관
장기요양기관의 지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1조)
장기요양기관을 설치·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소재지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으로부터 지정을 받아야 합니다.
재가 장기요양기관의 설치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2조)
재가급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고자 하는 자는
시설 및 인력을 갖추어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설치하고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구청장에게 이를 신고하여야 합니다.
신고를 받은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 군수·구청장은
신고 명세를 공단에 통보하여야 합니다. 의료기관이 아닌 자가 설치.운영하는
재가장기요양기관은 방문간호를 제공하는 경우 방문간호의 관리책임자로서
간호사를 둡니다.
'부모님모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6) | 2015.03.03 |
---|---|
장기요양인정신청의 등급판정 (0) | 2015.03.03 |
장기요양인정 신청 (0) | 2015.03.03 |
장기요양보험료 - 비용에 관함. (0) | 2015.03.03 |
노인장기요양보험 (0) | 2015.03.03 |